조선의 최종병기 '거북선'을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은 이유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승리 비결로 꼽히는 것이 바로 ‘거북선’입니다. 거북선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전함이던 판옥선을 개조하여 제작된 것으로 순수한 우리고유의 조선방식에 의해 건조된 국산전함이었는데요. 거북선의 우수함은 외국에서도 격찬받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북선’은 많은 숫자가 만들어 지지 않았습니다. 조선 수군의 최종병기라고 할 수 있는 '거북선'을 추가 건조하지 않고 주력으로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난중일기에 의하면 거북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에 건조되어 사천해전에서 처음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거북선’이 최초로 만들어진 것은 조선 태종때이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거북선의 모습은 임진왜란 때 충무공에 의해 탄생되었는데요. 거북선은 조선 수군의 주력 전함이었던 판옥선에 지붕을 덮은 형태입니다.


“신이 일찍이 왜적의 난리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특별히 거북선을 만들었습니다. 앞에는 용머리를 달아 그 입으로 대포를 쏘게 되어있고 등에는 쇠못을 꼿았으며, 안에서는 밖을 볼 수 있으나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습니다.”라고 충무공 이순신은 거북선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거북선 선체의 구조는 판옥선과 비슷하지만 거북의 등딱지에 해당하는 지붕을 얹고 철침과 창칼을 빽빽히 박아넣었습니다. 즉, 승선인원 전원을 방탄판자로 보호하는 장갑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승리비결로 이와 같은 거북선의 구조가 손꼽히는 것이죠.


주로 배에 올라타 육박전을 벌이는 일본 수군의 전투방식이 거북선에는 통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모르고 일본 병사들이 거북선에 올라탔을 시에는 철침과 창칼에 찔려 큰 부상을 입었으며 알고 진격한다고 하여도 거북선의 등껍질을 뚫을 재간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거북선의 화력 또한 가공할 만한 것이었습니다. 우선 선체 자체가 충파 공격을 할 수 있었죠. 뿐만 아니라 거북선은 물론이고 당시 조선수군의 주력선인 판옥선의 주 재료는 두터운 소나무 목재로 충돌전을 대비하고 있었습니다. 거북선은 판옥선보다도 더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좌우 양현을 지탱하는 가목의 숫자가 판옥선에 비해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백척의 적선 속이라도 쉽게 돌입하여 대포를 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거북선은 임진왜란에서의 맹활약 이후에는 그 모습를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실제로 명량해전 이후 조선 수군은 거북선을 추가 건조할 수 있는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북선을 추가 건조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대단한 전함을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거북선은 돌격전에 매우 유리한 전함이었습니다. 즉, '거북선'은 돌격전용 특수 군선이었지만 '판옥선' 처럼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 될 수는 없었습니다. 좁은 공간에 많은 인원이 탑승하는 단점이 있어 전투효율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돌격선으로서는 더없이 좋은 성능을 갖췄지만 실내가 협소하여 전투하기에는 불리했던 거북선입니다. 전투원들이 마음대로 활동하기에는 판옥선이 훨씬 유리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임진란 이후에 거북선을 오직 함대의 선봉이 되는 돌격선으로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